대구광역시 수성구
부동산위키
대구광역시 수성구(大邱 壽城區, Suseong District)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구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수성구는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주거 지역이자 교육 특구로 잘 알려져 있다. 대구의 동남부에 넓게 자리 잡고 있으며, 우수한 교육 환경과 풍부한 생활 인프라를 바탕으로 높은 주거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범어동을 중심으로 학원가가 밀집해 있어 교육열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지리[편집 | 원본 편집]
- 수성구는 동쪽으로 경상북도 경산시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남구, 중구와 인접해 있다.
- 북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계를 이루며, 남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과 맞닿아 있다.
- 주요 지형으로는 신천 (대구)이 구의 서쪽 경계를 따라 흐르며, 수성못과 같은 주요 수변 공간이 위치한다.
- 금호강의 지류인 범어천, 신천 등이 수성구를 통과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수성구 지역은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영역에 속했다.
- 조선시대에는 대구부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 이후에도 대구부 또는 대구면에 편입되어 있었다.
- 1938년 대구부 확장 시 수성면 일부가 대구부에 편입되었고, 나머지 수성면 지역은 1957년 대구시에 편입되었다.
- 1980년 4월 1일, 대구직할시 동구의 일부와 남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수성구가 신설되었다.
- 이후 수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행정 구역[편집 | 원본 편집]
수성구는 여러 개의 법정동을 포함하며, 행정 편의를 위해 다수의 행정동으로 나뉘어 있다. 주요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
- 범어동
- 만촌동
- 수성동
- 황금동
- 지산동
- 범물동
- 두산동
- 파동
- 고산동
교육[편집 | 원본 편집]
수성구는 대구의 교육 중심지로서 명성이 높다.
- 수많은 초·중·고등학교가 밀집해 있으며, 특히 범어동과 만촌동 일대에는 대규모 학원가가 형성되어 있다.
- 대구과학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 등 우수한 학업 성취도를 보이는 학교들이 위치하고 있다.
- 대구한의대학교 한방병원 등 일부 대학의 부속 시설 및 캠퍼스도 수성구에 자리하고 있다.
교통[편집 | 원본 편집]
- 도로: 달구벌대로, 동대구로 등 대구의 주요 간선 도로가 수성구를 통과하며, 신천대로 등을 통해 시내외 각지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 도시철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수성구의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며, 수성구청역, 범어역, 만촌역, 고산역 등 주요 역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수성못역 등을 지나며, 수성구 남서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
- 대중교통: 다양한 노선의 시내버스 운행을 통해 대구 시내 전역으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관광 및 문화[편집 | 원본 편집]
- 수성못: 수성구의 상징이자 대구를 대표하는 유원지로, 산책, 보트 타기, 주변 카페 및 맛집 이용 등 다양한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다.
- 대구 스타디움: 수성구와 경산시 경계에 위치하며, 대규모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개최되는 복합 경기장이다.
- 대구미술관: 현대미술의 전시 및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문화 시설이다.
- 수성아트피아: 각종 공연 및 전시회가 열리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 모명재: 임진왜란 때 조선에 귀화한 명나라 장수 두사충을 기리는 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