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도 출시되었습니다!
메뉴
부동산계산기.com
보수·수수료
수수료
중개보수(복비)
법무사보수
감정평가수수료
취득·등기비용
취득비
등기비용
취득세
국민주택채권
인지세
건물 부가세
보유세
재산세
보유세 통합
(재산세+종부세)
지역자원시설세
양도세
양도세
법인양도세
증여·상속세
상증세
증여세
상속세
상속지분
임대·투자
임대수익률
적정 매수가
환산임대료(NOC)
간주임대료
주택임대소득세
종합소득세
전월세 전환
월세보증금 조정
착한 임대인 혜택
전세보증보험
임대료 상승분
연체 임대료 이자
명도비용
DTI·LTV
DTI
총부채상환비율
DSR/신DTI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RTI
이자상환비율
LTV
주택담보대출비율
대출가능액
추정·인정 소득
장래 소득
단위·날짜·가격등
단위·가격등
날짜·기간
손 없는 날
평수·면적 환산
길이 환산
단위가격
대지지분
건폐율·용적률
건물 잔존가치
건물 기준시가
재건축 연한
리모델링 수익
누진세
경매 계산
경매
경매비용
경락대출 한도
경매 배당
명도비용
적정 입찰가
금융 계산
금융
대출 이자
예적금 이자
중도상환수수료
추정소득
대출가능액
대출대환 이자
경락대출 한도
전세보증보험
부동산 정보
정보
자유게시판
포럼, 질문답변, 건의
세무사 절세팁
부동산 매물
부동산 정책
부동산 뉴스
부동산 위키
부동산 실거래가
안드로이드 어플
아이폰 앱
모든 문서 목록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문서
토론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세종특별자치시
편집하기
부동산위키
이동:
둘러보기
,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세종특별자치시(世宗特別自治市)는 대한민국 중부에 위치한 특별자치시로,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중앙행정기관의 분산과 국가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개요==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7월 1일 출범한 대한민국의 특별자치시이며, 정부세종청사를 중심으로 행정수도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면적은 약 465㎢이며, 인구는 약 39만 명(2024년 기준)이다. ==역사==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이 행정수도 이전 계획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고, 2005년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2012년 공식 출범하였고, 이후 다수의 중앙행정기관이 이전하면서 실질적인 행정수도의 기능을 하고 있다. ==지리== 세종시는 충청권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북쪽은 천안시와 청주시, 남쪽은 대전광역시, 서쪽은 공주시와 인접해 있다. 금강이 시 중심을 가로지르며 도시 전반에 걸쳐 수변 공간과 녹지축이 계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후== 세종시는 냉대 습윤 기후(Dwa)로 겨울에는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덥고 습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200mm이며, 대부분의 비는 여름철에 집중된다. ==행정구역== 세종시는 1읍(조치원읍), 9면, 14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 조치원읍 *면: 연기면, 연동면, 부강면, 금남면, 장군면, 연서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동: 한솔동, 새롬동, 도담동, 아름동, 종촌동, 고운동, 보람동, 대평동, 소담동, 반곡동, 합강동, 집현동, 산울동, 해밀동 ==행정== 세종특별자치시는 단층제 지방정부로, 시장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지방의회인 세종특별자치시의회는 2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정부세종청사는 15개 이상의 중앙부처와 소속기관들이 입주한 행정단지이다. ==교통== *도로: 경부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대로 등 *철도: KTX 오송역이 인근에 있으며, 향후 대전도시철도 1호선이 세종으로 연장될 예정이다. *버스: 광역·시내버스 체계가 운영 중이며, BRT(간선급행버스체계)가 구축되어 있다. ==교육== 세종시는 고등학교 평준화 지역이며, 다수의 초중등 교육기관과 함께 KDI국제정책대학원,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등이 위치해 있다. ==도시 개발== 세종시는 계획도시로 출범했으며, 친환경 도시와 스마트 시티를 지향한다. 도심 내에는 세종호수공원, 국립세종도서관, 세종국립수목원 등 대규모 공공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스마트 시티== 세종시는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중 하나로,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 스마트 쓰레기 수거, 에너지 효율 관리 등 첨단기술이 도시운영에 도입되고 있다. ==같이 보기== *[[대한민국의 행정 수도]] *[[대한민국의 특별자치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스마트 시티]] *[[대전광역시]] ==참고 문헌== *Kang, Jeongmuk. ''A Study on the Future Sustainability of Sejong, South Korea's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Uppsala University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2012. *Babe, Ann. ''South Korea's Master-Planned City Draws Criticism''. U.S. News & World Report. 2019년 6월 4일. ==각주== <references /> [[분류:대한민국의 지역]]
요약:
부동산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동산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